
여권재발급 온라인신청유효기간 만료 등 사유로 여권을 다시 발급받기 위해 신청하는 서비스 1. 여권발급 구비서류 ■ 일반인 및 공통서류 : 신분증, 여권발급신청서, 여권용 사진 1매(발급신청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촬영한 사진), 수수료, 구여권(유효기간이 남은 유효한 여권 : 해당자에 한함) ■ 미성년자(만 18세 미만인자)법정대리인 대리 신청 : 공통서류, 법정대리인동의서, 법정대리인 신분증미성년자 본인 신청 : 공통서류, 법정대리인동의서 및 인감증명서(또는 본인서명사실확인서, 전자본인서명확인서), 법정대리인 신분증※ 법정대리인 : 친권자, 후견인 등대리인(2촌 이내) 신청시 : 공통서류, 법정대리인동의서, 인감증명서(또는 본인서명사실확인서, 전자본인서명확인서), 위임장, 가족관계증명서(2촌이내 관..

아이돌봄 서비스취업부모 등 양육 공백이 발생한 가정의 12세 이하 아동에게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여 부모의 양육부담 경감 및 시설보육의 사각지대 보완 1. 주요내용신청기간 상시신청전화문의 아이돌봄서비스 (1577-2514)방문 신청 : 읍면동 주민센터에 정부 지원 신청 및 소득 유형 결정 후 지역 서비스 제공 기관에 서비스 연계 신청온라인 신청 : 복지로를 통한 신청은 소득산정 대상자가 모두 직장보험 가입자인 경우에만 공인인증서를 통해 온라인 신청 가능 2. 지원대상○ 아동 연령 기준, 부모의 취업 등 양육 공백, 자녀양육 정부지원 중복금지 기준, 가구 소득기준을 모두 충족한 경우 정부 지원 ○ 아동 연령 기준- 영아종일제 : 생후 3개월 ~ 36개월 이하- 시간제(종합형 포함) : 생후 3개월 이상 ~ ..

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1. 신청기간 2025년도 한시적 2. 지원대상ㅇ (대상) 「청년기본법」상 청년(만 19~34세 이하*)으로 부모님과 별도 거주하고, 임차보증금 5천만원 + 월세 60만원 이하 주택**에 거주하는 무주택자 * 월세지원 신청연령은 신청년도의 출생년을 기준(만 19〜34세가 되는 해의 1.1〜12.31일)으로 하고, 선정 이후 기준 연령을 초과하여도 계속지원 가능 ** 월세가 60만원을 초과하더라도 보증금 월세 환산액과 월세액을 합산하여 70만원 이하인 경우 지원 가능(주택임대차보호법 제7조의2제2호에 따라 2.5% 적용) ※ 제외대상 : ▲주택 소유자(분양권, 입주권 포함) ▲직계존속·형제·자매 등 2촌 이내 주택 임차 ▲공공주택특별법에 따른 공공임대주택 거주 ▲보증금 5천만원 초..

기초연금노인에게 기초연금을 지급하여 안정적인 소득기반을 제공함으로써 노인의 생활 안정 지원 및 복리 증진 기여 1. 신청기간 만 65세 생일이 속하는 달의 1개월 전부터 신청 가능 2025 기초연금신청 2. 전화문의보건복지상담센터 (129), 국민연금공단 콜센터 (1355) 3. 신청방법읍면동 주민센터, 국민연금공단지사에 방문하거나 온라인으로 2025 기초연금신청 4 .접수기관 주민센터 5. 제출서류- 신분증- 사회복지서비스 및 급여 제공(변경) 신청서- 소득·재산 신고서- 금융 정보 등(금융, 신용, 보험정보) 제공 동의서(본인, 배우자)- 통장 사본 6.지원대상○ 만 65세 이상 노인으로 소득 인정액이 선정기준액(보건복지부 장관이 매년 결정·고시하는 금액) 이하인 자○ 대상자 : 만 65..

○ 근로장려세제저소득계층의 빈곤 탈출을 지원하고 사회안전망을 확충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, 근로소득, 사업소득 또는 종교인소득에 따라 산정된 근로장려금을 환급 형태로 지급하여 저소득 계층의 근로를 유인하고 실질소득을 지원하기 위한 근로연계형 소득지원 제도 1. 주요내용신청기간 ○ 정기신청 : 5.1.~5.31.○ 반기신청 - 상반기분 신청 : 9.1.~9.15. - 하반기분 신청 : 3.1.~3.15. 신청방법 ○ 개별 신청 안내받은 경우에는 ARS 1544-9944, 홈택스(모바일,PC), 서면 신청 가능○ 개별 신청 안내받지 않은 경우에는 홈택스(모바일,PC), 서면 신청 가능 2. 신청자격대상○ 아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근로소득, 사업소득 또는 종교인소득이 있는 가구 - 소득요건 : 전년도..

저소득층 에너지효율개선(난방지원)기후변화로 인해 온도 변화폭이 커짐에 따라, 에너지이용 소외계층의 에너지 사용환경을 개선하여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위기 적응에 기여 1. 주요내용신청기간 접수기관 별 상이전화문의 한국에너지재단 (1670-7653)신청방법 ㅇ 방문 신청 : 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접수기관 주민센터,시·군·구청지원형태 현물 2. 지원대상○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2조 제1호에 따른 국민기초생활수급자 및 같은 법 제2조 제10호에 따른 차상위계층 ○ 복지 사각지대 일반 저소득 가구(지자체 추천) ※ 수급가구 중 주거급여 “자가” 집수리 대상 가구는 지원제외※ 차상위계층 가구는 “자가”, “차가” 구분 없이 모두 지원 가능 선정기준○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제2조 제1호의 국민기초생활 수급권자 및 같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