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신청방법
   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신청방법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한부모가족 아동양육비 지원

    저소득 한부모가족 및 조손가족의 가족기능 유지 및 생활 안정, 복지증진 유지

     

     

    주요내용

     

     

    신청기간 자세한 날짜는 읍면동 주민센터에 따라 다를 수 있음

    전화문의 한부모상담전화 (1577-4206)

    신청방법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온라인으로 신청

     

    ○ 신청 절차

    - 소득재산조사(시군구)

    - 보장 결정통지(시군구)

    - 급여 지급(시군구)

    - 소득재산 등 변동 관리 및 확인조사(시군구)

    - 보장 및 급여중지(시군구)

    - 한부모가족(급여 수혜)

     

     

    접수기관 주민센터

    지원형태 현금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지원대상

     

    ○ 아동 양육비 : 지원 대상자로 결정된 저소득 한부모 가구의 18세 미만의 아동

    * , 고등학교 이하 재학(3 12월까지) 중인 경우 22세 미만 자녀까지 지원

     

    ○ 추가 아동 양육비

    - 조손가족 및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가족의 5세 이하 자녀

    - 25~34세 이하 청년 한부모의 18세 미만 자녀

    * , 고등학교 이하 재학(3 12월까지) 중인 경우 22세 미만 자녀까지 지원

     

    ○ 학용품비 : 한부모가족(조손가족 포함)의 초등학생, 중학생 및 고등학생 자녀

     

    ○ 생활보조금 : 한부모가족 복지시설에 입소한 저소득 한부모가족(조손가족 포함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선정기준

    (조 모) 또는 부(조부)18세 미만의 자녀(손자녀)를 양육하는 기준 중위소득 63% 이하인 가정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지원내용

     

     

    ○ 아동 양육비 : 저소득 한부모가족의 18세 미만 자녀 1인당 아동 양육비(월 23만 원) 지급

    * , 고등학교 이하 재학(3 12월까지) 중인 경우 22세 미만 자녀까지 지원

    * 생계급여 지원 한부모가족도 동일하게 지원

     

    ○ 추가 아동 양육비

    - 조손가족 및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의 5세 이하 자녀 1인당 5만 원 지급

    - 25~34세 이하 청년 한부모의 5세 이하 자녀 1인당 10만원 지급 / 6~18세 미만 자녀 1인당 5만원 지급

     

    ○ 학용품비 : 한부모가족(조손가족 포함)의 초등학생, 중학생 및 고등학생 자녀 1인당 연 9.3만 원의 학용품비 지급

     

    ○ 생활보조금 : 한부모가족 복지시설에 입소한 저소득 한 부모 가족(조손가족 포함)에 대해 가구당 5만 원 지급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신청방법

     

     

    ○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온라인으로 신청

     

    신청 절차

    - 소득재산조사(시군구)

    - 보장 결정통지(시군구)

    - 급여 지급(시군구)

    - 소득재산 등 변동 관리 및 확인조사(시군구)

    - 보장 및 급여중지(시군구)

    - 한부모가족(급여 수혜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제출서류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방문

    사회복지서비스 및 급여 제공(변경) 신청서

    소득재산 신고서

    금융정보 등 제공동의서

    임대차계약서, 제적등본, 외국인등록사실증명서 등(해당자에 한함)

     

     

    - 임대차계약서

    확정일자를 받은 계약서만 해당

    ·월세로 거주하는 경우 해당 전·월세계약서

    본인 소유 주택을 다른 사람에게 임대한(빌려준) 경우, 해당 전·월세계약서

    상가를 임대해서 사업체를 운영하는 경우, 해당 상가계약서

    ·밭 등 기타 재산을 빌려주거나 빌린 경우, 해당 임대차계약서

    - 사용대차 확인서 [사용대차 확인서 다운로드]

    친지 또는 타인의 주택에 무상으로 거주하는 경우, 집주인이 확인한 사용대차 확인서

    - 공공기관 부채증명원

    정부, 지자체, LH공사, 미소금융, 한국장학재단 등 공공기관에 대출이 있는 경우 해당 대출 증명서류

    - 기타 부채증명서류

    법원 판결 또는 법원의 화해·조정에 따라 개인간 채무가 확정된 경우, 해당 판결문

    복지급여 계좌등록 시 계좌정보 확인이 5회이상 실패한 경우 또는 압류방지통장인 경우 통장사본을 제출하셔야 합니다.

    제출방법 : 이미지업로드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문의처

     

     

    한부모상담전화 (1577-4206)

     

    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