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의료급여 틀니·치과임플란트 지원
    의료급여 틀니·치과임플란트 지원

     

    의료급여 틀니·치과임플란트 지원
    의료급여 노인 수급권자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, 치아건강 증진 도모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주요내용

     

    신청기간 접수기관 별 상이

     

    전화문의 보건복지상담센터 (129)

     

    신청방법

    1)시군구청에 방문하여 신청 또는 2)치과(의료기관)에서 전산등록 후 시군구청에서 승인하여 대상자 등록 가능

    ※ 주의사항 : 틀니나 임플란트 시술 후 소급적용을 위한 사후 등록 불가, 꼭 사전에 등록해야만 함 (시술 전에 대상자로 적합하다는 의료급여기관 및 보장기관의 판단에 따라 사전 등록한 대상자에 한하여 급여)

     

     

    접수기관 시··구청

     

    지원형태 서비스(의료)

     

     

    지원대상

     

     

    ○ '16.7.1.부터 65세 이상 의료급여 수급자로 7년 이내에 중복 수혜 이력이 없는 자.

    (보건소·건강보험 틀니 기() 수혜자라 하더라도 시술 부위 또는 틀니 종류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의료급여 틀니 등록 가능)

    - 완전 틀니(레진상,금속상)는 상악(위턱) 또는 하악(아래턱)에 치아가 전혀 없는 어르신

    - 부분 틀니는 상악(위턱) 또는 하악(아래턱)에 부분 치아결손으로 남은 치아를 이용하여 부분 틀니 제작이 가능한 어르신

    - 의료급여 적용되는 틀니는 레진상 및 금속상 완전 틀니(귀금속이 포함된 틀니는 제외), 클라스프(고리) 유지형 부분 틀니

    - , 틀니는 7년에 1회 적용이 원칙이며, 구강 상태가 심각하게 변화되어 새로운 틀니가 필요한 경우 7년 이내에 재제작할 수 있음.

    틀니 장착 후 무상수리는 3개월 이내 6(진찰료만 부담)까지 가능

     

     

    지원내용

     

    ○ 완전 틀니(금속상, 레진상) 및 부분 틀니 급여 적용(본인 부담: 1종 수급권자 5%, 2종 수급권자 15%,),

    부분 틀니 지대치는 별도 본인 부담(비급여)

     

    ○ 틀니 급여 주기는 동일 부위, 동일 종류의 틀니는 7년(악당)에 1회(틀니 제작 도중 병원을 옮기거나,

    7년 이내에 환자 부주의로 새로 틀니를 제작할 경우는 비급여로 적용)

     

    ○ 틀니 장착 후, 무상 수리는 3개월 이내 6회(진찰료만 부담)까지 가능

     

     

    신청방법

     

    1)시군구청에 방문하여 신청 또는 2)치과(의료기관)에서 전산등록 후 시군구청에서 승인하여 대상자 등록 가능

    주의사항 : 틀니나 임플란트 시술 후 소급적용을 위한 사후 등록 불가, 꼭 사전에 등록해야만 함 (시술 전에 대상자로 적합하다는 의료급여기관 및 보장기관의 판단에 따라 사전 등록한 대상자에 한하여 급여)

     

     

    구비서류

     

    의료급여 틀니 대상자 등록 신청서

     

     

    문의처

     

    보건복지상담센터 (129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